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에서 요즘 핫한 라이브 커머스 直播带货(zhíbò dàihuò)와 각 특징

by 리리앙앙리앙 2025. 7. 17.
반응형

直播带货(zhíbò dàihuò), 즉 ‘라이브 커머스’는 라이브 방송(生放直播)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품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중국의 대표적 유통 트렌드입니다.
중국 내 라이브커머스는 2016년 타오바오(淘宝)가 업계 최초로 시도한 후, 디지털 소비, 동영상 플랫폼의 폭발적 성장과 맞물리며 단기간에 전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1. 시장 규모와 성장 배경

중국 라이브커머스 시장은 2023년 기준 연간 거래액이 430조 원(위안 환산) 이상에 이를 만큼 초대형 산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시장 점유율 역시 전통 이커머스(전자상거래)에 버금가는 수준이며, 타오바오, 더우인(抖音, 중국 틱톡), 콰이쇼우(快手) 3대 플랫폼이 88% 이상의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라이브커머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한 배경에는

  • 모바일 및 숏클립(짧은 동영상) 서비스의 인기
  • 왕홍(网红: 인플루언서)과 대중 간의 쌍방향 소통 구조,
  • 상시 이벤트와 다양한 혜택,
  • 라이브 방송과 E-commerce 시스템의 원스톱 연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습니다.

2. 주요 플랫폼 및 특징

1) 타오바오 라이브(淘宝直播)

  • 알리바바 산하 대표 이커머스. 2016년 업계 최초 라이브커머스 도입.
  • 고객층: 구매 목적이 명확하며, 구매 전환율이 매우 높음.
  • 인플루언서: 리쟈치(李佳琦), 웨이야(薇娅) 등 초대형 왕홍 활약. 이들이 단일 방송에서 수천억 위안을 팔아 치우는 등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매김.
  • 방식: 실시간 중계로 신제품 런칭, 고가 브랜드부터 생필품까지 모두 취급. 생방송 중 즉석 쿠폰, 사은품 등 이벤트 제공.
  • 행사: ‘6.18’, ‘11.11(광군제)’ 등 대형 프로모션 때 대규모 판매 달성

2) 도우인(抖音, 틱톡 중국판)

  • 숏클립 중심 동영상 플랫폼에서 라이브커머스 핵심 채널로 부상.
  • 고객층: 10·20대 MZ세대를 비롯, 최근엔 전 연령대 참여 증가.
  • 특징: 음악·연예·실용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와 커머스가 결합, 트렌디 상품(패션, 뷰티, 라이프스타일) 비중 높음.
  • 기능: 라이브 속 ‘바로구매’ 버튼, 쇼핑몰 연동(예: 타오바오/티몰) 기능, 인플루언서 매트릭스 등 첨단 시스템.
  • 인플루언서: 루오용하오(罗永浩), 동방쩐쉬엔(东方甄选) 등.
  • 집계: 2020년 기준 더우인 라이브커머스 GMV 5000억 위안 기록.

3) 콰이쇼우(快手)

  • 생활밀착형 동영상 중심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 고객층: 3·4선 도시, 중장년층(51세 이상 22.9%) 등 지방 소도시층 강세.
  • 특징: 실용적·저가형 생활용품 판매 비중 큼, 가족적 분위기 방송이 많고 현지화 강점.
  • 인플루언서: 신바(辛巴), 산다거(散打哥) 등.
  • 집계: 콰이쇼우 라이브커머스 2020년 GMV 약 3000억 위안달성.

4) 기타 플랫폼 (징동, 핀둬둬, 샤홍슈 등)

  • 징동(京东): 품질 신뢰도 강조, 전문성 높은 제품 방송.
  • 샤홍슈(小红书): 라이프스타일, 체험형 콘텐츠 중심으로 Z세대 유입
  • 이 외에도 다양한 신생 플랫폼들이 시장에 포진.

3. 라이브커머스 운영 방식

  • 방송 진행자: 인플루언서(왕홍), 유명 연예인, 브랜드 관계자 또는 전문 쇼호스트 등.
  • 소통: 시청자와 실시간으로 Q&A, 실사용 후기 전달, 구매 혜택 즉각 안내.
  • 구매 전환: 방송화면 내 상품 설명·할인·링크 제공→실시간 구매 유도.
  • 마케팅: 한정 수량, 타임세일, 플래시 세일, 추첨, 쿠폰 지급 등 강한 프로모션 전개.
  • 결제/배송: 플랫폼 내 간편 결제 및 신속 배송 시스템(일부 도시는 30분~3시간 내 배송).

4. 라이브커머스 산업의 변화와 트렌드

  • 숏폼(Short-form) 콘텐츠 대세:
    도우인·콰이쇼우 등 숏폼 기반 플랫폼이 폭발적 성장. 유익·재미·쇼핑이 결합된 새로운 소비 경험 제공
  • AI·버추얼 인플루언서·인터랙티브 커머스 도입 급증.
  • 라이브와 오프라인 매장·체험관(OMO) 연계 강화, 브랜드 자체 라이브 운영 확대.
  • 교육–엔터테인먼트–쇼핑 융합:
    실제 제품 사용법, 정보 전달과 재미(게임, 노래, 이벤트 등)가 쇼핑과 융합된 양상.
  • 문제점: 짝퉁(모조품), 허위광고 및 법규 미준수 등 부작용 문제도 산업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제기.

5. 시사점

  • 글로벌 유통 시장 선도:
    중국式 라이브커머스는 지금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 중.
  • 플랫폼-인플루언서-브랜드가 유기적으로 연동된 초대형 커머스 생태계로 진화,
    소비는 물론, 문화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라이브커머스는 더이상 신기술이 아닌, 소비자의 생활 그 자체이자 유통의 중심이다.”

 

실시간 소통-데이터피드백-즉시성 결제라는 핵심 강점을 바탕으로
중국 라이브커머스는 앞으로도 무한 변신을 거듭하며
글로벌 전자상거래 트렌드의 ‘롤모델’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반응형